오규 소라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규 소라이는 1666년 에도에서 태어난 일본의 유학자로,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시의(侍醫) 아들로 어린 시절 학문을 배우고 가즈사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 1692년 에도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하며 호엔주쿠를 열어 호엔 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학을 비판하고 고문사학을 확립했다. 그는 정치 개혁론을 제시하고, 아코 로시 사건에 대한 입장을 표명했으며, 사무라이 계급을 지지하고 상벌 제도를 통해 능력 있는 사람이 권력을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서로는 《논어징》, 《정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와고에번 사람 - 마쓰다이라 데루사다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은 마쓰다이라 데루사다는 고즈케 다카사키 번주를 지냈으며, 도쿠가와 요시무네 시대에 로주격으로 중용되어 활약한 에도 시대의 무장이다. - 모노노베씨 - 이소노카미진구 신궁
이소노카미진구 신궁은 나라현 덴리시에 위치한 일본서기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신사 중 하나로, 스진 천황 시대에 창건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황실의 숭배를 받았고, 국보를 소장하고, 다양한 제례 행사를 거행하며,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일본의 문헌학자 - 후지와라노 사다이에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는 『신고킨슈』 편찬에 기여하고 고토바 상황과의 갈등을 겪었으나 『신정선와가집』 편찬, 권중납언 승진, 『오구라 백인일수』 편찬 등 문학 활동에 전념한 와카 시인이자 가론서 및 주석서 저술가, 서예가이다. - 일본의 문헌학자 - 요시다 유타카 (언어학자)
요시다 유타카는 이란어와 중앙아시아 출토 문헌을 연구하는 일본의 언어학자이며, 교토대학 문학부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데이쿄 대학 문화재연구소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규 소라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규 소라이 |
본명 | 오규 나베마쓰 |
자 | 모케이 |
통칭 | 소우에몬 |
호 | 겐엔 |
출생 | 1666년 3월 21일 |
출생지 | 일본, 무사시국에도 |
사망 | 1728년 2월 28일 |
사망지 | 일본, 에도 |
국적 | 일본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직업 | 역사학자, 문헌학자, 철학자, 번역가 |
학문 | |
분야 | 유학, 문헌학 |
학파 | 고문사학 |
관심사 | 알 수 없음 |
영향 | 이토 진사이, 이반룡, 왕세정 |
영향을 준 인물 | 다자이 슌다이, 핫토리 난카쿠, 안도 도우노, 야마가타 슈난, 히라노 킨카 |
기타 정보 | |
알려진 업적 | 고문사학의 확립 |
기타 이름 | 붓소라이 (物徂徠) |
2. 생애
오규 소라이는 에도에서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시의(侍醫)였던 오규 가게아키(荻生景明)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하야시 가호와 하야시 호코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나, 1679년 아버지 오규 가게아키가 쇼군 쓰나요시의 분노를 사 에도에서 쫓겨나면서 어머니의 고향인 가즈사국 혼나무라(지금의 모바라시)로 이주해 13년간 독학으로 학문의 기초를 닦았다.
1692년 아버지가 사면되어 에도로 돌아온 후, 조조지(芝增上寺) 근처에 주쿠(塾, 글방)을 열었으나, 초기에는 궁핍한 생활을 했다. 1696년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에게 발탁되어 그를 섬기며 녹봉을 받았고, 야나기사와 저택에서 학문을 강의하고 정치 자문에 응하면서 쇼군 쓰나요시의 눈에 띄었다. 1701년 겐로쿠아코 사건에 대한 자문에 참여하기도 했다.
1709년 쇼군 쓰나요시가 사망하고 요시야스가 실각하면서 니혼바시 가야바 정에 호엔주쿠(蘐園塾)라는 사숙을 열고 제자들을 중심으로 호엔 학파를 형성하였다. 1716년경부터 《논어징》(論語徵) 집필을 시작, 1717년에는 자신의 학문적 성과를 《학칙》, 《변도》, 《변명》 등의 작품으로 정리하였다.
1722년 이후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신임을 얻어 자문 역할을 맡았고, 추방형을 자유형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1728년 6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묘소는 도쿄도 미나토구의 나가마쓰 사(長松寺)에 있다. 1737년 《논어징》이 발간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유배

에도에서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를 보좌하는 시의(侍醫)였던 오규 가게아키(荻生景明)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에는 하야시 가호와 하야시 호코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그러나 열네 살 때인 엔포 7년(1679년)에 쓰나요시의 분노를 사 아버지가 에도에서 쫓겨나 칩거하게 되면서, 어머니의 고향인 가즈사국 혼나무라(本納村, 지금의 모바라시)로 이주해 살았다.[3]
이곳에서 13년 동안 중국과 일본의 서적과 불경을 독학하며 훗날 학문적 토대를 다졌다. 특히 하야시 라잔의 《대학언해》(大學諺解)를 반복해서 읽은 것이 소라이 학문의 기초가 되었다. 훗날 가즈사에서의 시절을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은 《남총지력》(南總之力)으로 완성되었다고 말했다.[15]
겐로쿠 5년(1692년), 아버지가 사면되면서 에도로 돌아왔다. 당시 27세였다. 에도로 돌아온 뒤에도 학문에 전념하여 시바 조조지 옆에 주쿠(塾, 글방)를 열었지만, 초기에는 가난하여 끼니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근처 두부 장수의 도움을 받았다.
2. 2. 에도 귀환과 학문 활동
에도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학문에 뛰어났으며, 임춘재와 임봉강에게 배웠다. 그러나 엔포 7년(1679년) 당시 다테바야시번 주였던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노여움을 산 아버지가 에도에서 추방당하고, 그에 따른 칩거로 인해 14세에 가족과 함께 어머니의 고향인 가즈사국 혼나무라(현 지바현 모바라시)로 이주하였다.[3]이곳에서 13년 남짓 주요 한적과 일본 서적, 불경을 독학하여 후일 학문의 기초를 쌓았다고 전해진다. 상총 시대를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이 이루어진 것은 “남총의 힘”이라고 말했다. 겐로쿠 5년(1692년) 아버지의 사면으로 함께 에도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했다. 시바 조조지 근처에 서당을 열었지만, 초기에는 가난하여 식사조차 제대로 할 수 없었는데 이웃 두부 장수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겐로쿠 9년(1696년) 쇼군 쓰나요시의 측근이자 에도 막부 소바요닌인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에게 발탁되어, 요시야스의 영지인 가와고에번에서 15인 봉급을 받고 그를 섬겼다. 후에 500석으로 증가되어 야나기사와 저택에서 강학과 더불어 정치적 자문에 응했다. 쇼군 쓰나요시를 알현하기도 했다. 요시야스는 호에이 원년(1705년) 고후번 주가 되었고, 호에이 7년(1706년) 소라이는 요시야스의 명령으로 가이국을 답사하고, 기행문 『풍류사자기』, 『협중기행』을 기록하였다. 호에이 6년(1709년) 쓰나요시의 사망과 요시야스의 실각으로 야나기사와 저택을 나와 니혼바시 가야바초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 사숙인 겐엔주쿠를 열었다. 마침내 소라이파라는 하나의 학파(겐엔 학파)를 형성하게 된다. 서당 이름인 “건원”은 서당이 위치한 가야바초 지명에서 따온 것이다(인접하여 보이 키카쿠가 살았고, “매화 향기 나는 옆집은 오기우 소우에몬”이라는 하이쿠가 있다).
교호 7년(1722년) 이후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신임을 얻어 그에게 자문하였다. 추방형의 부당성을 주장하고, 이를 대신하여 자유형으로 할 것을 주장하였다. 대담하고 자부심이 강했으며, 중국 취미를 가지고 있었고, 중국어에도 능통했다고 한다.
2. 3. 호엔주쿠와 학파 형성
겐로쿠 9년(1696년), 소라이는 31세의 나이로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측근이자 소바요닌이었던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에게 발탁되어 그를 섬기며 녹봉을 받았다. 야나기사와 저택에서 학문을 강의하고 정치 자문에 응하면서 쇼군 쓰나요시의 눈에도 들게 되었다. 겐로쿠아코 사건 때에는 소라이는 다른 성리학자들과 함께 자문에 참여하기도 했다.[15]호에이 6년(1709년), 쇼군 쓰나요시가 사망하고 요시야스가 실각하면서, 소라이는 44세의 나이로 야나기사와 저택을 나와 니혼바시 가야바 정에 호엔주쿠(蘐園塾)라는 사숙을 열었다. 이곳에서 그는 제자들을 중심으로 호엔 학파를 형성하였다. 호엔주쿠라는 이름은 호엔주쿠가 있던 가야바초의 지명과도 관련이 있는데, 인근에 작가 다카라이 기카쿠가 살고 있어 "매화꽃 향기 옆에 오규 소에몬이"(梅が香や隣は荻生惣右衛門일본어)라는 하이쿠가 전해진다.
3. 사상
오규 소라이는 주자학의 근본적인 약점을 두 가지로 지적했다. 첫째, 18세기 당시 혼란에 빠져 있던 막부의 영지 제도로 인해, 개인의 윤리적 선을 추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당시의 정치적 위기는 도덕적 성격을 완성하는 것 이상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둘째, 주자학이 도덕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인간의 감정에 기반한 본성을 억압한다고 비판했다.
소라이는 이러한 문제점이 주자학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 주자학자들이 사서와 오경의 고전 작품을 잘못 해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옛말을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지식을 얻기 위해 고대 작품으로 돌아가 "학문의 궁극적인 형태는 역사이다"라고 말했다. 소라이에게 이러한 역사적 작품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재에도 궁극적인 원천이었다. 그는 철학 연구가 언어 연구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했으며, 하야시 라잔(林羅山)과 같은 일본의 다른 유학자들이 주희와 같은 송나라 자료에 지나치게 의존한다고 비판했다.
소라이는 ‘도(道)’가 우주의 미리 정해진 원리가 아니라, 유학 고전 작품에 기술된 고대 성인들이 세운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작품들은 예(禮)](Li (Confucianism))]( rei일본어)와
3. 1. 고문사학(古文辭學)
소라이는 기존의 주자학을 "억측에 근거한 허망한 설일 뿐이다!"라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주자학에 입각한 고전 해석을 거부하고 고대 중국의 고전을 독해하는 방법론으로서 고문사학(古文辭學)을 확립했다. 당시 일본의 지식계급은 한문을 읽고 쓸 줄 알았고 중국 고전을 완전히 자기 교양으로 삼았다. 그런데 거기에 대해 소라이는 "우리가 읽고 있는 《논어》, 《맹자》라는 것은 외국어로 쓰여 있다. 우리는 옛날부터 번역해서 읽고 있을 뿐이다"라고 폭탄선언을 했다. "유붕(有朋)이 자원방래(自遠方來)하니 불역낙호(不亦樂乎)아"라고 읽고서는 《논어》를 읽었다고들 말하지만, 과연 그걸로 《논어》를 충실히 이해하고 있는지 어떤지는 의문이라면서 소라이는 일본어와 중국어는 기본적으로 문법구조가 다른데 그것을 한문식으로 뒤집어 읽어서는 '야마토 냄새(和臭)'를 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일본어 냄새를 풍기며 읽고 있는데도 마치 중국의 고전을 그대로 읽고 이해한 양 착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발상이 처음으로 담긴 소라이의 저작이 《역문전제(譯文筌蹄)》이며 그 초편(初編)의 머리글에 이렇게 써 있다.[16]예를 들어 한자 정(靜)과 한(閑)의 일본어 훈은 모두 '시즈카(しずか)'다. 중국어로는 다른 한자로 표기되어 있지만 훈이 같아져 버리기 때문에, 화훈으로 훈독할 경우에 일본인은 중국의 시나 문장의 진정한 의미를 잃어버리게 된다. 그의 《역문전제》는 '시즈카'로 발음되는 한어를 전부 늘어놓고 이것은 중국에서 이러저러한 의미라고 밝히는 일종의 자전(字典)이다. 하지만 소라이는 문법도 다르고 질적으로도 다른 중국어를 일본어로 바꿔 읽고 있는 것이 번역임을 의식하지 못하는 일본인들이 자신들이 지금 번역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기만 한다면, 중국어의 구조를 중국인 이상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면서 긍정적인 주장도 한다. 중국인은 별 생각 없이 자기 언어를 사용하니까 자기 언어와 사상의 참모습을 모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역문전제》의 성립 연대는 확실치 않지만, 대략 쇼토쿠 연간 이전일 거라고 생각한다. 그 시대에 이미 '고문사(古文辭)'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소라이는 교호 원년 이후 《논어징》 등을 잇달아 쓰기 전에, 그런 비교언어학이라고나 할 방법론을 의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고문사'는 언어학으로서 시작된 것이고, 경학으로서의 소라이학이 형성되는 것보다 빠르다.[17]
주자학과 이토 진사이의 진사이학을 비판하고, 고대의 언어, 제도, 문물 연구를 중시하는 “고문사학”을 내세웠다. 고대 언어를 전혀 모르면서 주희를 비판했고, 많은 경우 진사이 또한 비판했다. 다만, 진사이의 해석에 대한 비판은, 그것에 상응하는 기록이 『논어고의』에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중국풍 취향을 가지고 문학과 음악을 좋아했던 오규 소라이는 한적을 읽을 때에도 훈독하지 않고, 원래 발음 그대로 읽음으로써 본래의 의미를 복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3. 2. 경세 사상
오규 소라이는 주자학의 두 가지 근본적인 약점을 지적했다. 첫 번째는 18세기 당시 혼란에 빠져 있던 막부의 영지 제도였다. 그는 개인의 윤리적 선을 찾는 것에 의존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당시의 정치적 위기는 도덕적 성격을 완성하는 것 이상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고대 중국 성왕들은 도덕뿐 아니라 정치 자체에도 관심을 가졌다고 보았다. 주자학에 대한 두 번째 비판은 도덕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인간의 감정에 기반한 인간 본성을 억압한다는 것이었다.그는 이러한 약점들이 주자학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 주자학자들이 사서와 오경의 고전 작품을 잘못 해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소라이는 "옛말을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지식을 얻기 위해 고대 작품으로 돌아가 "학문의 궁극적인 형태는 역사이다"라고 말했다. 그에게 이러한 역사적 작품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재에도 궁극적인 원천이었다. 소라이는 철학 연구는 언어 연구로 시작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하야시 라잔(林羅山)과 같은 일본의 다른 유학자들이 주희와 같은 송나라 자료에 지나치게 의존한다고 비난했다.
소라이는 ‘도(道)’가 우주의 미리 정해진 원리가 아니라, 유학 고전 작품에 기술한 고대 성인들이 세운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작품들은 예(禮)](Li (Confucianism))]( rei일본어)와
3. 3. 아코 로시 사건에 대한 입장
겐로쿠 시대에 일어난 아코 로시 사건(추신구라)에서 아코 로시 47인에 대한 처분을 논의할 때, 하야시 호코를 비롯한 무로 규소, 아사미 게이사이 등은 그들을 칭찬하며 목숨만은 살려주자고 주장했다. 반면 소라이는 그들을 의사(義士)로 인정하면서도 전원에게 셋푸쿠(切腹)를 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라이 의률서(徂徠擬律書)》[19]에 따르면, 소라이는 "도는 스스로를 깨끗이 하는 길이며, 법은 천하의 규정입니다. (중략) 만약 사사로운 의론으로 공론을 해치게 된다면 이후 천하의 법이 서지 못하게 되고 말 것입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아코 로시 47인의 충정보다 이들의 행동이 가져올 정치적 영향에 관심을 두고, 충성이라는 도덕적 기준보다는 '천하의 법도'라는 정치적 입장에서 그들의 단죄를 주장한 것이다. 소라이는 그들이 천하의 대법을 어겼으니 사죄에 처해야 마땅하지만, 그들의 행동은 '사(私)'의 도(道)로서는 훌륭하므로 목을 쳐서는 안 되고 할복의 예(禮)로 처리해야 한다고 했다.소라이는 이처럼 공(公)과 사(私)의 구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사'를 나쁘다고 하지 않았으며, '사'와 '공'의 영역이 서로 구별된다고 보았다. 문학처럼 '사'의 영역에 속하는 데에 권선징악의 잣대를 들이밀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문학은 사적 작업이므로 천하국가론과는 관계가 없으며, 자신의 학문 역시 사적 작업이라고 했다. 따라서 통치와 학문은 영역의 구별이지 가치의 구별은 아니라고 명시했다.[20]
겐로쿠 아코 사건에서 아코 낭시 처벌에 대한 논의에서 하야시 호오코우를 비롯한 무로 키우소, 아사미 케이사이 등이 주군을 위한 원수 갚음을 칭찬하며 사면론을 펼친 데 반해, 오규 소라이는 의사들을 할복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의견도 있음).
- '소라이 의율서'라고 불리는 문서에서,
> “의는 스스로를 깨끗하게 하는 길이고 법은 천하의 규범이다. 예로써 마음을 다스리고 의로써 일을 다스린다. 지금 46인이 그 주군을 위해 원수를 갚은 것은, 시종으로서 수치를 아는 것이다. 스스로를 깨끗하게 하는 길이지만 그 일은 의라고 할지라도, 그 무리에 한정되는 일이므로 결국은 사론이다. 그 이유는 본래 나가나리가 대전에서 감히 그 죄를 받았음에도, 다시 기라씨를 원수로 삼아 공의의 허락도 없이 소란을 일으킨 것은, 법으로 허용되지 않는 곳이다. 지금 46인의 죄를 결정하고, 시종의 예로써 할복에 처한다면, 우에스기가의 소원도 헛되지 않고, 그들의 충의를 가볍게 여기지 않는 이치는, 마땅히 공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만약 사론으로 공론을 해치면, 이후 천하의 법은 설 수 없다.”
라고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막부의 질문에 대해 소라이가 상신했다고 전해지는 호소카와가에 전해지는 문서이지만, 진필인지는 불명[7]이다.
마찬가지로, 아사노가 아코 번이 있던 효고현 아코시도 '소라이 의율서'는 막부에는 남지 않고 호소카와가에만 남아 있다는 점, 소라이의 "47인 논"(아래)과 소라이의 발상·주장에 너무나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후세의 위서라는 견해를 하고 있다.[8].
- 한편, '정담' 중 "47인 논"[9](보영 2년)에서는, "내장두의 난자는 필부의 용기로 인한 '불의' 행위이며, 난입은 주군의 '사지'를 이은 것이므로 의라고 할 수 없다"고 논하고 있다.[10].
소라이의 제자 다이자이 슌다이가, "소라이 이외에 '낭시는 의사가 아니다'라는 논을 펼치는 자가 없고, 세상은 깊이 생각하지 않고 충신이라고 칭찬하고 있다"라고 말한 점에서 소라이의 진필로 여겨진다.[11].
4. 평가와 영향
오규 소라이 학파는 직접적인 제자 외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오사카의 평민들이 운영한 사숙인 회덕당에서는 주자학자 나카이 치쿠잔 등이 오규 소라이 학파를 비판했다.[6] 그중에서는 후네나가 나카모토와 같은 뛰어난 문헌학자가 배출되었다. 또한,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문학 연구 방법에 큰 영향을 받아 그것을 일본에 적용한 『고사기』, 『일본서기』 연구를 수행했다. 오규 소라이 학파의 영향력은 막말까지 이어져, 서양철학자 니시 아마네는 오규 소라이 학파를 공부했다.
한편, 오규 가문은 현대까지 도쿄에서 이어져 오고 있으며, 1970년대에 오규 가문에 전해져 내려오던 오규 소라이의 자필 고본(稿本)을 마이크로필름으로 촬영하여 전집 교정에 활용하였다.[4] 2022년, 오규 가문은 이 자료 약 150점을 공공 문화재로 보존, 활용하기 위해 도쿄대학 고마바 도서관에 기증했다.[4] 기증 자료에는 유학과 경세론 외에도 명나라 시대 한시 주석서인 五言絶句百首解|오언절구백수해중국어, 오규 소라이가 고안했다고 알려진 독자적인 규칙의 장기 해설서 広象棋譜面|광상기보면일본어, 류큐 왕국의 에도 상경 사절 기록인 琉球聘使記|류큐빙사기일본어 등이 포함되어 있다.[4]
5. 저작 목록
- 변도(弁道)
- 변명(弁名)
- 의자율서(擬自律書)
- 태평책(太平策)
- 정담(政談)
- * 임태홍 역, 서해문집, 2020.
- 학칙(学則)
- 논어징(論語徴)
- * 임옥균 · 임태홍 역, 《논어징》(전3권), 소명출판, 2010.
- 손자국자해(孫子国字解)
- 명률국자해(明律国字解)
- 오기소 라이(荻生徂徠) 전 시(全詩)
- * 아라이 켄(荒井健)・타구치 이치로(田口一郎) 역주, 평범사(平凡社) 동양문고(東洋文庫) 전4권, 2020년 3월-
- 오기소 라이(荻生徂徠) 전집
- * 미스즈쇼보(みすず書房)와 카와데쇼보신샤(河出書房新社)에서 출판되었지만, 미완결.[21]
- 학숙(Gakusoku) (1715년)
- 변도(Bendō) (1717년)
- 소라이 선생도문서(Sorai sensei tōmonsho) (1724년)
6. 문인(門人)
- 안도 도야(安藤東野)
- 가메이 쇼요(亀井昭陽)
- 스미에 소로(住江滄浪)
-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
- 하토리 난각(服部南郭)
- 히라노 킨카(平野金華)
- 야마이 쿤룬(山井崑崙)
- 야마가타 슈난(山県周南)
- 우사미 류스이(宇佐美灊水)
7. 대중문화 속의 소라이
일본의 전통 대중 예술인 만담이나 강담에서는 '소라이의 두부'라는 이야기가 상연된다. 이 이야기는 쇼군의 어용학자가 된 소라이와 그가 가난했던 시절 은인이었던 두부 장수가 아코 로시 사건을 계기로 다시 만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소라이가 가난한 학자였던 시절, 굶주림을 참지 못하고 돈 없이 두부를 주문해 가게 앞에서 먹어버렸다. 두부 장수는 이를 용서했을 뿐만 아니라, 가난한 처지임에도 소라이를 많이 도와주었다. 아코 로시 사건 다음 날, 두부 장수는 화재로 가게를 잃고 길거리에 나앉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소라이는 새 가게를 열 돈과 자리를 마련해 주었지만, 두부 장수는 "의사(義士)에게 셋푸쿠를 시킨 소라이의 도움은 에도 사람으로서 받을 수 없다"며 거절했다.
이에 소라이는 "두부 장수께서는 가난하여 돈 없이 두부를 먹은 저를 '출세하면 갚으라'며 너그럽게 봐주셔서 도둑이 되지 않도록 구해 주셨습니다. 그때 법을 굽히지 않는 한계 안에서 정을 베풀어 주셨기에 지금의 제가 있는 것입니다. 저도 학자로서 법을 굽히지 않고 그 로시(浪士)들에게 베풀 수 있는 가장 큰 정을 베풀었으니, 이는 두부 장수께서 제게 하신 것과 같습니다."라며 법의 도리를 설명했다. 또한 "무사라는 자가 아름답게 피어난 이상 보기 좋게 지게 해주는 것도 정을 베푸는 것이며, 무사의 큰 칼은 적을 위해 존재하지만 작은 칼은 그 자신을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라며 무사의 도덕을 설명했다. 두부 장수는 이에 납득하고 소라이의 도움을 기꺼이 받았다. 두부 장수는 로시들의 셋푸쿠와 소라이로부터 받은 선물을 가리키며 "선생님께서는 해를 위해 자신의 부담을 떼어 주셨다"라고 외치며 이야기가 끝난다.
소라이를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배우 | 작품명 | 방송사 | 방영년도 |
---|---|---|---|
기시다 모리 | 겐로쿠 타이헤이키 | NHK 대하드라마 | 1975년 |
다츠미 류타로 | 오오카 코에쓰 | TBS | 1975년 |
니시무라 아키라 | 연말 시대극 스페셜 충신장 | NTV | 1985년 |
쓰가야마 마사타네 | 8대 장군 요시무네 | NHK 대하드라마 | 1995년 |
참조
[1]
웹사이트
荻生徂徠墓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
문서
明律国字解
[3]
웹사이트
荻生徂徠勉学の碑
https://www.mobara-k[...]
茂原市
2018-12-01
[4]
뉴스
荻生徂徠の資料、子孫が寄贈 独自の将棋ルールブックなど150点 東大駒場図書館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2-05-09
[5]
문서
2008
[6]
문서
1994, 2000
[7]
문서
[8]
간행물
忠臣蔵
赤穂市
[9]
문서
[10]
논문
近世日本の中期における忠義の観念について-山崎闇斎学派を中心に-
https://www.waseda.j[...]
早稲田大学
2016-10
[11]
서적
赤穂四十六士論
1732
[12]
웹사이트
第130話落語「徂徠豆腐」
http://ginjo.fc2web.[...]
2020-03-19
[13]
웹사이트
「峡中紀行」は荻生徂徠全集の何巻に載っているか知りたい。
http://iss.ndl.go.jp[...]
国会図書館
2018-12-01
[14]
문서
[15]
서적
도쿠가와 시대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0
[16]
서적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2018
[17]
서적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2018
[18]
서적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2018
[19]
문서
[20]
서적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2018
[21]
웹사이트
「峡中紀行」は荻生徂徠全集の何巻に載っているか知りたい。
https://web.archive.[...]
国会図書館
2018-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